오늘은 마지막 세 번째 여인을 알아보기로 하자
이 글은 시리즈로 연결되어 있으며 앞에 1-2를 연결해 보기를 바라며...
https://idea5936.tistory.com/entry/2 하나님-KINGDOM의-여인들죽은-자를-부활로-받으라
2.하나님 KINGDOM의 여인들(죽은 자를 부활로 받으라)
바로 이어서 2번째로 살펴볼 묵상을 이어간다앞선 글에 링크를 올려놓습니다 https://idea5936.tistory.com/entry/하나님-KINGDOM의-여인들향유를-깨트려라 1.하나님 KINGDOM의 여인들(향유를 깨트려라)이후에
gotokingdom.com
3. 베다니 – 나병환자 시몬의 집 (막 14:3–9; 마 26:6–13)
예수께서 베다니 문둥이 시몬의 집에서 식사하실 때에
한 여자가 매우 값진 향유 곧 순전한 나드 한 옥합을 가지고 와서
그 옥합을 깨뜨리고 예수의 머리에 부으니 어떤 사람들이 분내어 서로 말하되(막 14:3-4)
예수께서 베다니 문둥이 시몬의 집에 계실 때에 한 여자가 매우 귀한 향유
한 옥합을 가지고 나아와서 식사하시는 예수의 머리에 부으니
제자들이 보고 분하여 가로되(마 26:6-8)
- 장소: 베다니, 문둥이 시몬의 집.
- 인물: 이름 없는 여인
- 시기: 유월절 이틀 전 (예수님 체포 직전).
- 행위: 옥합의 향유를 깨뜨려 예수님의 머리에 부음.
- 반응: 제자들이 “허비한다”라고 비난
- 예수님은 “내 장례 준비”며 “복음이 전파되는 곳마다 이 여인이 행한 것도 말하리라” 하심
나는 향유 옥합을 깨트린 여인들을 보며 신부의 영선 변화를 살피고 있다
모든 그리스도인들이 다 이 길을 걷는다고는 하지 않겠다
그리고 이길을 걷는 자만 신부라고 하는 것도 아니다
신부들의 영성은 모두 다르며 높고 낮음이 아닌 주님이 주시는 분량이 다르다고 해야겠다
예를 들면 다윗의 아내들은 모두 신분이 다르며 아내의 등장도 다르다
1. 미갈 (מִיכַל, 미칼)
- 출신: 사울 왕의 둘째 딸
- 신분: 이스라엘 왕가의 공주.
- 자녀: 없음
2. 아히노암 (אֲחִינֹעַם, 아히노암)
- 출신: 이스라엘 사람
- 신분: 평민 출신
- 자녀: 암논(다윗의 장자)
3. 아비가일 (אֲבִיגַיִל, 아비가일)
- 출신: 갈멜 사람 나발의 아내였다가 과부가 됨 (삼상 25장).
- 자녀: 다니엘(혹은 길르압, 삼하 3:3).
- 신분: 부유한 지주의 아내였다가 다윗의 아내가 된 여인.
4. 마아가 (מַעֲכָה, 마아카)
- 출신: 구술 왕 달매의 딸(아람-북방 국가, 이방 공주)
- 자녀: 압살롬, 다말.
- 신분: 이방(아람-구술) 공주.
5. 학깃 (חַגִּית, 학깃)
- 출신: 성경에 배경은 자세히 안 나오지만, 이름이 “축제”라는 뜻.
- 자녀: 아도니야 (솔로몬 즉위 때 왕위를 노린 자).
- 신분: 평민 출신으로 추정.
6. 아비달 (אֲבִיטַל, 아비탈)
- 출신: 성경에 구체적인 배경 언급 없음.
- 자녀: 스바댜 (삼하 3:4).
- 신분: 평민 추정.
7. 에글라 (עֶגְלָה, 에글라)
- 출신: 신분이나 배경은 거의 언급 없음.
- 자녀: 이드리암 (삼하 3:5).
- 신분: 평민 추정.
8. 밧세바 (בַּת־שֶׁבַע, 밧세바)
- 출신: 헷사람 우리야의 아내 (왕의 용사 중 한 사람의 부인).
- 자녀: 첫 아이(죽음), 이후 솔로몬(왕위 계승).
- 신분: 헷 사람의 가정 출신(다소 이방 배경이 섞인 이스라엘 공동체 가문).
미갈은 공주였으나 다윗의 사랑을 받지 못했고 아비가일은 남편 있는 여인이었다가
남편이 죽자 바로 아내가 되었고 마아 가는 이방 공주였다
무엇보다 밧세바는 자신의 충성된 용사 중 한 명인 우리야의 아내였다
정욕을 이기지 못하여 죄를 범하여 우리야를 죽게 한 뒤에 그녀를 아내로 맞았다
이렇게 다양한 방법과 출신으로 그녀들은 신부가 된 것이다
그러니 향유를 부은 여인들을 신부의 영성으로 부류 하는 것은 그들의 행함이
뛰어나다는 것으로 구분을 한 것이 아니다
말씀에 기록된 대로 그 영적의미를 적용했을 뿐이다
그러니 행함을 강조한다든지 믿음을 강조한다든지 신비를 강조한다든지 그런 것이 아니니
자신이 받은 만큼 취하면 좋겠다
오늘 세 번째 여인의 신부 된 영성은 그리스도와 연합된 교회이다
향유 옥합을 깨트린 여인의 이야기는 4 복음서에 모두 기록이 되어 있다고 했다
그러나 모두 기록된 말씀이 시간과 내용들이 조금씩 다르다
특히 세 번째 여인은 예수님의 십자가 사건과 가장 가까운 시기이며
다른 여인과 다르게 향유를 예수님 머리에 부었다
또 중요한 힌트를 다른 여인들에게는 없는 말씀을 2번 예수님이 주신 부분이 있다
"식사하시는 예수님의 머리에 부으니"(마 26:7)
- ἐπὶ τὴν κεφαλὴν - “그의 머리 위에”
- 동사: κατέχεεν (katecheen)“쏟았다, 부었다”
- 시제: 미완료 직설법 - “계속 붓고 있었다, 동작의 지속
- 뉘앙스: 많은 양을 계속 흘려 붓다는 느낌.
"이 여자가 내 몸에 이 향유를 부은 것은"(마 26:12)
- ἐπὶ τοῦ σώματός μου - “내 몸 위에”
- 동사: ἔβαλεν (ebalen)“부었다, 쏟았다, 바쳤다”
- 시제: 부정과거 직설법 - “한 번 부었다” 단일 사건
- 기본 의미: “던지다, 놓다, 붓다, 바르다” (헬라어 βάλλω의 파생)
- 행위 강조: “그녀가 내 몸에 이 향유를 (한 번) 부었다”
1 힌트- 여인은 예수님의 머리에 부었다고 하는데 예수님은 몸에 부었다고 말씀하신다
그리고 머리에 부은 것은 계속 진행으로 동작의 지속을 나타내는 단어를 사용했고
몸에 부은것은 한 번으로 끝이 나는 단일 사건임을 나타내는 단어를 사용했다는 것이다
그게 뭐 그럴 수 있지 하고 무시할 수도 있겠지만 성경은 성령으로 기록된 것이다
한치 오차도 없이 하나님 주권 아래 이유 있게 기록되었을 것이라 믿는다
이 마지막 향유 사건은 마지막 때에 나타나는 그리스도와 연합된 교회를 의미한다
예수님이 십자가 죽으시기 전에 남은 마지막 사역을 교회에 이임하셨다
그것이 신랑과 신부의 결합으로 이제 해산하게 될 아들들이 그 사역을 감당할 것이다
예수님과 향유 부은 여인은 교회이다 물론 물질적인 건물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예수님 시대로 보면 향유 부은 여인들은 모두 예수님의 십자가 죽으심을 알았지만
막상 제자들은 그것을 알지 못한 것 같이 신부들과 또 아들들의 사명은 다른 것이다
향유 부은 여인을 통하여 앞으로 해산하게 될 아들들은 바로 예수님의 제자들이다
제자들은 예수님 부활 후 또 다른 가르침을 받았고 모두가 예수님과 같이 자기 십자가를 지고
예수님과 같은 길은 간 자들이다
예수님의 어머니 마리아를 제자 요한에게 맡기심 같이 하나님 KINGDOM의 여인들과
아들들의 사명이 다르며 상급도 다르다
2 힌트- 복음이 전파되는 곳에는 이 여자의 행한 일도 말하여 저를 기념하리라(마 26:13)
나는 한 번도 복음을 전하는 자들이 향유를 깨트린 여자의 행함을 함께 말하는 것을
듣지 못하였다 그럼 이 말씀은 무슨 의미일까....
바로 머리 되신 그리스도와 몸된 교회가 연합되는것을 말하라는 것이다
머리되신 그리스도로부터 성령의 기름이 지속적으로 흘러 내려서
몸 된 교회가 빛을 밝히며 한 번의 장사 지내는 즉 순교할 때 부어지는 향유가 되는 것이다
이것이 세 번째 향유를 깨트린 여인 곧 교회 순교의 감추어진 비밀이다
또한 계시록에 7 교회의 금 촛대 사명이며 두 감람나무인 두 증인의 사명이 되는 것이다
'🇰🇷 한글 시리즈 묵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2.하나님 KINGDOM의 여인들(죽은 자를 부활로 받으라) (0) | 2025.08.23 |
---|---|
1.하나님 KINGDOM의 여인들(향유를 깨트려라) (2) | 2025.08.23 |
속건제 - 이시대 속건제물은 누가 감당하게 될까? (10) | 2025.07.28 |
화목제 (셸렘, שֶׁלֶם)- 하나님과의 교제와 나누는 기쁨 (9) | 2025.06.10 |
꿈 이야기-3.환란을 보았다(마지막 때 입문 테스트) (0) | 2025.06.07 |